🔥 여름철 작업장의 보이지 않는 위험
여름철 현장은 근로자와 관리자 모두에게 큰 부담을 줍니다.
특히 체감온도가 31℃를 넘으면 열사병·탈수·어지럼증 같은 온열질환 위험이 급격히 증가합니다.
그동안 많은 현장에서 단순 온도계나 작업자의 주관 보고에 의존했지만,
이는 실시간 대응 한계와 최근 법제화된 내용의 법적 준수 증빙 부족이라는 문제를 안고 있었습니다.
“폭염·한파, 이제는 시스템으로 막는다 – 현장 안전의 새로운 기준”
매년 반복되는 여름과 겨울, 현장의 고민여름이 되면 숨이 턱 막히는 폭염, 겨울이면 뼛속까지 스며드는 한파.이 두 가지 자연현상은 매번 뉴스에 오르내리지만, 실제로 가장 큰 피해를 보는 곳
shinwooblog.com
⚠️ 대응이 늦어질 때 생기는 문제
최근 몇 년 사이 건설현장, 야외작업장 등에서 발생한 온열질환 사고는 꾸준히 증가했습니다.
관리자는 매시간 수기 기록을 하느라 번거롭고, 근로자는 “안전하게 보호받고 있다”는 확신이 부족했습니다.
이런 상황이 반복되면 안전사고 → 산재 → 비용 증가 → 기업 신뢰도 하락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 스마트 모니터링이라는 해답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폭염작업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이 도입되었습니다.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온도·습도 데이터를 수집하고, 위험 기준치 초과 시 즉시 관리자에게 알림을 발송합니다.
또한 리포트 기능으로 법적 기준 충족과 행정 업무 절감까지 동시에 달성할 수 있습니다.
이번 사례는 소규모 공사현장으로 실외(현장) 1곳 + 실내(현장사무실) 1곳에 시범적으로 설치해 효과를 검증했습니다.
현장 한눈에 보기
- 대상/범위: 여수 소규모 공사현장 시범도입(실외 1, 실내 1)
- 기간/주기: 2025.08.20 ~ 2025.09.01 / 측정기간
- 목적: 폭염 시 즉시 대응 체계 검증 + 기록 자동화로 법적 리스크 축소 와 관리 편의성
🧩 설치·운영 방식
- 센서 계측: 온도·습도 기반 체감온도 산출 < 실외는 법적 맞춤 제작 백엽상 사용>
맞춤 백엽상 사용 목적 1. 정확한 온습도 측정 2. 도난방지 3. 법적 기준 충족 - 실시간 알림: 기준 초과 시 관리자 또는 현장소장에게 즉시 전송
- 리포트 자동화: 경보·조치 이력 자동 누적/요약 출력
✅ 흐름: 수집 → 기준 초과 감지 → 알림 → 조치(교대 휴식·냉수) → 기록 저장 → 리포트
📊 시범 도입으로 확인한 결과 (25.08.18~25.09.10)
🏠 실내(현장사무실)
- 평균 체감온도: 29.9℃
- 최고 체감온도 : 35.7℃
- 위험 경보: (주기설정에 따라 경보알림의 횟수가 달라집니다.)
🌞 실외(현장)
- 평균 체감온도 : 30.3℃
- 최고 체감온도 : 40℃
- 위험 경보: (주기설정에 따라 경보알림의 횟수가 달라집니다.)
➡ 오후 12~3시 사이 집중 발생 → 관리자 알림 후 교대 휴식 + 냉수 제공 조치
➡ 결과: 온열질환 0건 유지
✅ 도입 효과
- 온열질환 예방 효과
- 온도 법적기준 도달 시 안전관리자 즉각 알림
- 근로자 안전 예방 즉시 조치 가능
- 비용부담 감소
- 산업안전관리비로 시스템 활용 가능
- 관리 효율 및 편의성 향상
- 수기 기록 → 웹 기록 전환
- 반복 점검 업무 감소(온도계 확인·수기 작성·정리 최소화)
- 법적 기준 충족 위한 기록·증빙 체계 자동 확보
- 법적 준수 & 신뢰 확보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560조,562조 충족
- 근로자 예방과 더불어 사업주 보호
- 법적 기준 안전 보고서 생성 → 기업 신뢰도 강화
🚀 앞으로의 가능성
이번 시범 도입은 단순한 계측 장비나 유통이 아니라,
데이터 기반 안전관리 체계가 현장 운영의 핵심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 사례입니다.
실내와 실외 환경을 동시에 검증하면서,
위험 요소를 수치로 확인하고 즉시 대응하는 프로세스가
실제로 작동하는지를 입증했습니다.
향후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확대 적용된다면,
- 건설·제조 현장: 작업자 온열질환 예방, 안전사고 사전 차단
- 물류·창고 시설: 밀폐 공간 온도·습도 관리로 작업자와 제품 안전 동시 확보
- 공공시설: 24시간 가동으로 폭염 대비 안전 강화, 법적 기준 충족
- 에너지·플랜트 현장: 고위험 작업 환경에서의 법적 리스크 최소화
이처럼 다양한 현장별 맞춤형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번 시범 도입은 단순한 규제 대응을 넘어
스마트 안전관리 플랫폼으로 성장할 잠재력을 확인한 단계라 할 수 있습니다.
“경보·조치·기록, 현장을 한 번에 관리하다.”
'IoT솔루션 > 온습도모니터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6월 1일 시행 폭염산안규칙 재검토 (0) | 2025.06.02 |
---|